-
데브코스 자율주행_TIL_23.10.02데브코스 자율주행 Perception/_TIL(Today I Learned) 2023. 10. 2. 22:57
자율주행 기술 동향
자율주행 기술의 궁극적인 목표는 완전 자동화, 즉 전 구간에서 운전자가 없는 완전한 자율주행을 하는 것이다.
하지만, 각 회사마다 추구하는 방향이 다르므로, 회사의 특성과 방향이 다르다.
자율주행 기술은 자율주행 자동차 외에도 로봇, 드론등 다양하게 사용되며 주요 기술들은 다음과 같다.
- 센서(Sensor): 라이다 및 카메라 센서등
- HD-Map: 지도 제작(과거와 달리 지금은 다른 방향을 추구)
- 인지(Perception): 환경 인식
- 예측(Prediction): 인식한 동적 장애물의 이동경로 예측
- 판단(Planning & Decision): 경로 생성 방법
- 제어(Control)
현재는 전통적인 방식과 AI기술을 합친 방법으로 기술 개발이 되고 있음.
테슬라의 경우 E2E 방식을 적용(강화학습 방법?)하여 Map의 종속성이 없이 자율주행을 진행.
Wayve의 LINGO-1: Vision-Language-Action model도 보이고 있음.
ROS 노드 통신 문제 해결 1
1. ROS 전송 속도
ROS노드간 통신을 할 때 처음과 끝에서 누락없이 잘 전송되는지 확인해보면, 처음에 데이터가 잘려서 전송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노드 메시지를 받는 부분에서 연결이 완벽하게 된 후 데이터를 받게 하면 된다.
- C++
pub.get_num_connections() == 0- Python
pub.getNumSubscribers() == 0위의 명령어는 내가 받는 토픽의 개수를 이야기한다.
2. ROS 전송 속도
ROS의 데이터 크기에 따라 전송 시간과 속도는 제각기이다.
3. ROS 처리 지연
ROS노드에서 데이터를 미처 처리하지 못하면 해당 값은 누락됨을 볼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queue_size를 조절하는데 이는 컴퓨터의 사양에 따라 값을 다르게 조절하면 된다.
https://mokchanic.tistory.com/65
_ROS1_노드 실습 (1)
이번에는 노드간 통신을 하며 발생하는 문제들과 해결 방안을 살펴보려고 한다. 1. 노드간 동기화 문제 우리가 노드로 통신을 주고받을 때 누락없이 잘 도착하는지를 보려고 한다. 해당 예제를
mokchanic.tistory.com
'TIL > _TIL(Today I Learn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브코스 자율주행_TIL_23.10.04 (0) 2023.10.04 데브코스 자율주행_TIL_23.10.03 (1) 2023.10.03 데브코스 자율주행_TIL_23.09.26 (0) 2023.09.26 데브코스 자율주행_TIL_23.09.25 (0) 2023.09.26 데브코스 자율주행_TIL_23.09.22 (1) 2023.09.22